-
노트북 내장 GPU만 사용하기리눅스 2024. 12. 25. 01:33
인텔 내장 GPU와 Nvidia GPU가 달린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리눅스에서 Nvidia 드라이버는 정품(?)이든 오픈소스든 완성도가 떨어지는 걸로 유명하다. 2024년 현재 큰 문제가 없긴 한데, 커널이나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불안할 뿐더러, 다른 버그를 찾을 때 방해가 되기도 한다.
평소 내가 하는 일이 딱히 GPU 성능이 좋을 필요도 없어서, 그냥 내장 GPU만 사용하기로 했다.
문제는 Nvidia 드라이버를 모두 삭제해도, 오픈소스인 nouveau 드라이버가 자동 할당된다는 것. 우분투에서 관련 패키지인 libdrm-nouveau2는 의존성 문제로 삭제조차 할 수 없다.
해법은 nouveau 드라이버 모듈을 블랙리스트에 올려서 로드하지 않고, Nvidia GPU를 시스템 장치 목록에서 삭제하는 것이다.
1. nvidia, nouveau가 붙은 패키지를 모두 삭제한다. (libdrm-nouveau2는 제외)
2. nouveau 커널 모듈 사용 중지
# /etc/modprobe.d/blacklist.conf blacklist nouveau
3. Nvidia GPU를 감추는 systemd 서비스 스크립트 작성 및 등록
# /etc/systemd/system/kill-nvidia-gpu.service [Unit] Description=Kill Nvidia GPU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usr/bin/sh -c "/usr/bin/echo 1 > /sys/bus/pci/devices/0000:01:00.0/remove" ExecStart=/usr/bin/sh -c "/usr/bin/echo 1 > /sys/bus/pci/devices/0000:01:00.1/remov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장치의 슬롯 번호는 lspci 명령으로 찾으면 된다. 두번째 장치는 Nvidia의 오디오 장치인데, 같이 꺼놓아야 절전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 sudo systemctl enable kill-nvidia-gpu.service
4. 재시작
* 출처 - Hopefully less power to Nvidia GPU by removing the PCI device (Clear Linux Forum)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전 모드에서 깨어난 뒤 CPU가 느려지는 경우 (0) 2024.12.28 우분투 24.04 설치 후, 설정한 것들 (1) 2024.07.15 리눅스에서 와이파이가 사라지면 윈도 10을 의심하라 (0) 2021.06.04 Nouveau 드라이버와 wifi의 충돌 (0) 2021.05.21 리눅스가 BIOS의 시간을 자꾸 바꿀 때 (1) 2021.05.14